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71)
성공한 사람들의 공통된 습관 - 기회비용 일생동안 쓰고 싶을 만큼 펑펑 써도 다 못쓸 정도의 부를 쌓은 사람, 누구나 이름만 대면 알 수 있을 정도의 유명세나 명예를 얻은 사람, 자기 분야에서 후기지수들에게 이름을 알릴 정도로 업적을 쌓은 사람 등 성공한 사람이라는 것은 추상적이고 수학처럼 분명하게 정의할 수 있는 개념은 아니지만 나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은 성공한 인생을 꿈꾸고 추구하며 살아간다. 다양한 분야, 측면에서 성공한 사람 중 특히 자본이라는 분야에서 성공한, 흔히 우리들이 부자라고 말하는 사람들의 공통된 습관이면서도 범인에 불과한 우리들에게는 없는 이 습관에 대해 알아보자. 그 습관은 바로 기회비용을 계산한다는 점이다. 근데 흔히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기회비용을 넘어서 부자들은 시간에 대한 기회비용도 계산하며 평범한 사람들보다 ..
[매일글쓰기 65일차] 생산자와 소비자 우리가 현재 살아가고 있는 자본주의 시대에서는 모든 사람이 크게 두 분류로 나뉜다. 바로 생산자와 소비자이다. 이 자본주의 시대가 흘러갈수록 대부분의 사람은 소비자쪽에만 속하고 아주 소수의 사람들만 생산자에 속하게 되고 있다. 결국 큰돈을 벌고 성공하기 위해서는 생산자에 속하는 것이 이 자본주의 시대에서는 유일한 방법이다. 생산자는 갈수록 줄어들기 때문에 빈부격차는 점점 더 심해지게 된다. 소비자는 말그대로 생산자가 생산하는 상품을 돈이나 다른 가치가 있는 것을 지불하고 소비하는 사람들이다. 꼭 돈을 지불하지 않더라도 우리가 유튜브 영상을 시청할 때 돈을 지불 하진 않지만 가치가 있는 다른 것에 해당하는 시간이라는것을 지불한다. 우리는 시간을 들여 생산자가 제작한 영상을 시청하고 중간중간 광고도 봐분다...
[매일글쓰기 64일차] 프로그래밍 기초 공부 얼마전 지인 집들이로 친한 사람들이 한자리에 모였다. 오랜만에 본 사람들의 근황을 듣게 되었는데 분야를 전향해 프로그래머가 된 분이 있었다. 요즘 주변 얘기를 들어보면 개발자를 꿈꾸는 사람들이 부쩍 많아진 것 같다. 그날 그 자리에 모인 7명중 무려 4명이 개발자였으니 말이다. 유튜브 광고에도 몇개월 만에 개발자를 양성하는 교육 과정을 광고하는 것을 본적이 많고 오프라인에서 강의하는 프로그래밍 학원들도 꽤 상당히 많이 있다고 들었다. 하지만 막상 개발자의 꿈을 안고 길로 접어들었을 때 결국 한계에 부딪혀 포기하는 이들이 많다. 학원이나 온라인 강의에서는 포트폴리오를 준비하기 위한 정형화된 커리큘럼을 고수하기 때문에 막상 프로그래밍의 핵심은 배우지 못하고 겉핥기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것만 배우다 그치는 경우..